분류 전체보기65 이중자음, 복자음 ph, -gh 발음, 입모양 파닉스기초 [ph]와 [-gh]는 우리말 /ㅍf/ 로 표기합니다. 오늘 배울 [ph]와 [-gh]는 예전에 배웠던 [f]와 같은 발음이 납니다. 즉, 윗니로 아랫입술을 살짝 물고 '프'하며 바람을 내보내는 소리를 내면 되지요 :) 예를 들어 'phase'라는 단어는 'fase'와 같다고 생각하고 '페f이즈' 소리를 내면 됩니다. 'laugh'도 'lauf' 라고 생각하면 쉽겠죠? [-gh]는 앞에 '-'를 붙인 것처럼 단어 끝에만 온답니다. 토끼처럼 앞니를 가볍게 입술 뒷부분에 대고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'후' ! Practice phase phone phrase phony photo graph sphinx phantom laugh rough tough enough tip** * 'though'나 'through'처.. 2023. 2. 14. 이중자음, 복자음 -sh / ʃ 발음, 입모양 파닉스기초 [-sh]는 우리말 /쉬/으로 표기합니다. 영어 철자의 [-sh] 대부분이 '쉬' 발음이 납니다. 하지만 우리말 '쉬' 보다 약간 더 강한 바람 소리가 나는데요 :) 혀가 윗니 뒤 튀어나온 부분 치경에서 공기가 마찰되며 '쉬'소리가 나는 발음입니다. 뽀뽀하듯이 입술을 내밀면서 '쉬 소리를 내어볼까요? '쉬` 조용히해! 할 때처럼! Practice cash dash rash wash dish fish hush rush fresh shed ship shock shop 2023. 2. 12. 이중자음, 복자음 -ch / tʃ 발음, 입모양 파닉스기초 [-ch]는 우리말 /취/으로 표기합니다. 이전까지는 철자 하나하나의 음가에 대해 배웠습니다. [-ch]부터는 복자음이라 하는데요, 복자음이란 무엇일까요? 자음 2개가 모여서 각자 가지고 있던 고유의 음가 대신에 또 다른 소리를 내는 철자군을 복자음이라 합니다. 또 다른 소리를 내기 때문에 [-ch]는 '크흐' 라고 읽지 않고 '취'라고 발음합니다. 하지만 분명하게 발음하는 것이 아닌 작게 흘려 버리는듯한 소리입니다. 특히 'catch'와 같이 단어 끝소리로 오는 경우에는 제대로 흘리듯이 발음해야합니다. 물론 'chat'처럼 뒤에 모음이 붙으면 '취' 발음을 명확하게 해줍니다. 우선 혀를 [t]발음을 낼 때처럼 윗니 뒤에 튀어나온 부분 치경에 붙여 호흡을 막습니다. 그리고 입술을 내밀고 호흡을 밀어내며 .. 2023. 2. 11. 알파벳 Z z 발음, 입모양 파닉스기초 [z]는 우리말 /ㅈ/으로 표기합니다. 자, 드디어 알파벳의 마지막 글자 [z]입니다. [z]를 '제트'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요. 아마 우리에게 친숙한 만화 '마징가 제트'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. 하지만 [z]의 올바른 이름은 바로 '지'입니다. 그렇다면 [z]의 우리말 표기법은 'ㅈ'이고 '즈'소리가 난다는 것은 추측할 수 있지요? 하지만 [z]의 소리는 우리말 'ㅈ'과는 다른 소리입니다. 앞에서 배운 [s] 소리를 낼 때와 같은데요. 입을 옆으로 벌리고 혀 끝 부분을 윗니 바로 뒤 튀어나온 부분 (치경)에 닿을듯 하게 접근시킨 후 강한 바람을 내보내며 내는 소리입니다. [s]는 무성음인것과 달리 [z]는 유성음이기 때문에 성대를 울리는 점이 [s]와의 차이점이죠. 핸드폰 진동소리나 벌이 날아다니.. 2023. 2. 10. 알파벳 Y y 발음, 입모양 파닉스기초 [y]는 우리말 /ㅏ이/으로 표기합니다. 'my'라는 단어를 읽어보세요. 이 단어에는 [a,e,i,o,u] 모음이 보이지 않습니다. 그렇다면 모음이 없는데 어떻게 '마이'라는 소리가 날 수 있을까요? 'my'에서는 [y]가 모음의 역할을 하고 있기에 가능합니다. [y]의 소리는 세 가지로 나뉩니다. 하지만 기본 적으로 '아이'인데요. 이 때 [i]와 혼동해서는 안됩니다. [i]는 '이' 소리가 나는 친구니까요! 우리말 '아이'를 발음할 때와 소리가 거의 같기 때문에 따로 연습할 건 없습니다. 다만 '아이'의 '이'를 살짝 흘리듯이 발음해야합니다. 아!이.. 아!이.. Practice my by why shy cry dry fly dye rye bye tip** 1. [y]가 '아이' 소리가 날 때 -by.. 2023. 2. 9. 알파벳 X x 발음, 입모양 파닉스기초 [x]는 우리말 /ㅋㅆ/으로 표기합니다. [x]의 이름은 '엨쓰'죠? 하지만 'Xmas'나 'Xray'와 같이 극소수의 단어를 제외하고는 [x]가 '엨쓰'로 발음되는 경우가 굉장히 드뭅니다. 그럼 [x]의 기본 소리는 뭘까요? '엨쓰'에서 '에'만 뺀 나머지 소리, 즉 '크쓰'가 기본 소리입니다. 소리내는 법은 앞에서 배운 [c],[k]의 '크'와 [s]의 '쓰'를 빠르게 연결하여 내는 소리입니다. 윗니와 아랫니를 살짝 대고 그 틈으로 '크쓰'하고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. 보통 'box'나 'fox' 등 끝소리로 사용되고 있죠. 그래서 '크쓰'의 '크'는 앞의 모음과 연결하는 받침으로 사용하여 쓰고, '쓰'는 끝소리로 살짝 날리며 소리냅니다. 예를 들어 'box'는 b ㅂ / o ㅏ / x ㅋㅆ = '밬ㅆ.. 2023. 2. 8. 알파벳 W w 발음, 입모양 파닉스기초 [w]는 우리말 /ㅜ/으로 표기합니다. [w]의 기본 소리는 무엇일까요? 보통 [w]를 자음으로 분류합니다. 하지만 음성적인 면으로 보면 모음에 속하지요. 그러나 절름발이 모음입니다. 왜냐면 모음은 모음이지만, 독자적인 음가를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. 즉, [wa] [we] [wi] 등, 항상 다른 모음을 동반하여 음가를 만들지요. 예를 들어 [wa] [wo]는 '우워', [we]는 '우웨', [wi]는 '우위' 하고 발음합니다. 이 때 앞에 들어가는 '우' 소리는 입술을 내미는 과정에서 살짝 사잇소리로 들어가는 소리이기 때문에, 들릴 듯 말 듯하게 나는 소리입니다. 예를 들어 'went'는 '웬트'가 아닌 '(우)웬트'입니다. [w]는 입술을 앞으로 쭉 내민 상태에서 혀뿌리를 뒤쪽으로 들어가게 하면.. 2023. 2. 7. 알파벳 V v 발음, 입모양 파닉스기초 [v]는 우리말 /ㅂv/ 로 표기합니다. 바이킹, 빅토리, 비디오, 밸런타인과 같이 우리말처럼 많이 쓰이는 단어들이 있죠? 하지만 영어에선 [v]발음을 하고 우리는 이걸 'ㅂ'으로 잘못 발음하고 있습니다. 우리말의 'ㅂ'처럼 발음하면 원어민은 [b]발음으로 혼동하기 쉽습니다. very good이 berry good이 되거나 vest 조끼가 best 최고가 되기도 합니다. [v]는 앞에서 배운 [f]의 발성법과 같습니다. 윗니로 아랫입술을 살짝 대고 성대를 울리며 '(으)브' 하고 호흡을 내보내며 발음하면 됩니다. '브'하고 발음할 때 아랫입술이 살짝 진동하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. 핸드폰 진동 소리를 생각하면 좀 쉬울 거예요! Practice van vast vend vest vent vex vell v.. 2023. 2. 6. 알파벳 U u 발음, 입모양 파닉스기초 ʌ [u]는 우리말 /ㅓ/ 로 표기합니다. [u]도 다른 모음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소리가 납니다. 보통 알파벳 소리 그대로 '유'라고 발음하기 쉽고 그렇게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. 하지만 [u]는 '어' 소리로 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본 발음으로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. [u]의 '어'는 우리말 '어'와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. 우리말 '어'는 입을 아주 조금 벌리며 발음하는 반면, 영어의 [u]는 '아'와 '어'의 중간 소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. 너무 어렵게 느껴지시나요? 그럼 우리말 '어'를 발음할 때 턱을 아래로 힘껏 내려 입을 벌리며 소리를 내보세요. 아마 '아'와 '어' 중간 그 어디쯤의 발음이 나는 걸 느낄 수 있을 겁니다 :) 턱을 내리고 당황한듯한 '어'! Practice luck .. 2023. 2. 2.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